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반응형

환경: mac

 

설치

brew install redis

 

접속

// 단일 노드 접근
redis-cli -h alpha-redis-master.abc.net -p 6006 -a {pwd}

// 클러스터 접근
redis-cli -c -h alpha-redis-master.abc.net -p 6001 -a {pwd}
728x90
반응형

'서버 세팅 & tool > vm on mac'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rminal] alias in mac terminal  (0) 2022.06.08
[parallels] local server not working on parallels  (0) 2022.04.11
[vm] nginx 설치  (0) 2022.02.24
[parallels] nox...... 99%.....  (0) 2022.02.23
[vm] axon server 설치  (0) 2022.01.12
반응형

linux의 .bash_profile과 같은 파일은 한 번 만들고 source 명령어를 통해 활성화하면 다음부터는 별다른 실행 없이 바로 적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허나 mac 같은 경우에는 그렇지가 않아서 매우 귀찮았는데, 이는 최초에 초기화 시 불러오는 파일명이 달랐기 때문이다.

아마 최초에 zsh관련 라이브러리를 설치했기 때문이 아닌가 싶긴한데, 내 컴퓨터에서는 아래의 이름을 된 파일이 최초에 읽어진다.

.zshrc

따라서 저 파일을 생성하고 그 안에 작성하면 무엇이든 두 번씩 하지 않아도 된다.

나는 이미 .bash_profile에 적어뒀던지라 그냥 그 파일을 읽어오게 했다.

if [ -f ~/.bash_profile ]; then
  . ~/.bash_profile
fi
728x90
반응형

'서버 세팅 & tool > vm on mac'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dis] 설치 / redis-cli  (0) 2025.01.09
[parallels] local server not working on parallels  (0) 2022.04.11
[vm] nginx 설치  (0) 2022.02.24
[parallels] nox...... 99%.....  (0) 2022.02.23
[vm] axon server 설치  (0) 2022.01.12
반응형

갑자기 local로 띄운 서버가 mac -> paralles -> window -> ie에서 안된다면..?

호스트 파일에도 설정이 잘 있는데도 안된다면..?

나 같은 경우 아래와 같은 에러가 브라우저에 찍혔다..

  •  INET_E_RESOURCE_NOT_FOUND
  • CONNECTION_REFUSED

 

hosts 파일의 주소를 아래와 같이 외부 ip로 변경하면 우선 해결된다.

근데 외부 ip가 바뀔 경우 다시 손대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728x90
반응형

'서버 세팅 & tool > vm on mac'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dis] 설치 / redis-cli  (0) 2025.01.09
[terminal] alias in mac terminal  (0) 2022.06.08
[vm] nginx 설치  (0) 2022.02.24
[parallels] nox...... 99%.....  (0) 2022.02.23
[vm] axon server 설치  (0) 2022.01.12
반응형

2022.01.03 - [서버 세팅 & tool/vm on mac] - [vm] virtual box centos7 세팅

 

[vm] virtual box centos7 세팅

1. oracle virtual box for mac 설치 2. centos7 iso 받기 https://ftp-srv2.kddilabs.jp/Linux/packages/CentOS/7.9.2009/isos/x86_64/ 참고로 gui 리눅스를 사용하기 위해 풀버전으로 받았음 ​ 3. https://mine..

bangpurin.tistory.com

최소설치 /32기가 /2기가램 으로 진행

vm 을 마련해주고 nginx 설치를 진행한다.

 

참고로 cli로 리눅스를 깔으니 마우스포인터가 없어 복붙이 힘들어.. 맥 터미널로 vm 에 붙어서 작업했다..

vm 서버의 ip를 알기 위해서는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

ip addr

 

1. nginx repo 추가

sudo vi /etc/yum.repos.d/nginx.repo

//열린 파일에 아래 작성
[nginx]
name=nginx repo
baseurl=http://nginx.org/packages/centos/7/$basearch/
gpgcheck=0
enabled=1

 

2. nginx 설치

sudo yum install -y nginx

 

3. (옵션)centos에 설치된 모든 라이브러리 업데이트, 자바 설치

sudo yum update -y
sudo yum install java-1.11 ~~

 

4. 방화벽 포트 열기

# 포트 개방
sudo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8080/tcp
# 방화벽 재시작
sudo firewall-cmd --reload
# 개방된 포트 목록 확인
sudo firewall-cmd --list-ports

 

5. 서비스 등록 및 시작

sudo systemctl status nginx
sudo systemctl enable nginx
sudo systemctl start nginx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아래는 문제가 되는 화면이다..

 

구글링을 하다보니 아래 사이트 처럼 세팅하라고 한다. 윈도우를 아애 종료시키고 설정하는게 핵심이다..!!

https://kb.parallels.com/116239

 

KB Parallels: Nested Hyper-V support in Parallels Desktop virtual machines

: this feature is currently not supported in Parallels Desktop on Mac computers with Apple M1 chip.

kb.parallels.com

처음에 이렇게 나와서 당황했지만.. 윈도우 끄고 설정창 다시 켜면 된다..

 

맥을 재기동하니까 녹스 정상 작동 된다..!

728x90
반응형

'서버 세팅 & tool > vm on mac'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rallels] local server not working on parallels  (0) 2022.04.11
[vm] nginx 설치  (0) 2022.02.24
[vm] axon server 설치  (0) 2022.01.12
[vm] virtual box 브릿지 네트워크 설정  (0) 2022.01.12
[vm] jenkins 설치  (0) 2022.01.10
반응형

2022.01.03 - [세팅/vm on mac] - [vm] virtual box centos7 세팅

 

[vm] virtual box centos7 세팅

1. oracle virtual box for mac 설치 2. centos7 iso 받기 https://ftp-srv2.kddilabs.jp/Linux/packages/CentOS/7.9.2009/isos/x86_64/ 참고로 gui 리눅스를 사용하기 위해 풀버전으로 받았음 ​ 3. https://mine..

bangpurin.tistory.com

2022.01.12 - [세팅/vm on mac] - [vm] virtual box 브릿지 네트워크 설정

 

[vm] virtual box 브릿지 네트워크 설정

virtual box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 vm을 고정 IP로 지정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세팅한다. 1. 우선 맥북(호스트)의 ip 확인 > 192.168.35.xx였다 ifconfig 2. linux(게스트)에서 고정 ip 설정 cd /etc/sysc..

bangpurin.tistory.com

 

최소설치 / 32기가 / 브릿지 네트워크로 세팅하고 시작한다.

 

1. prerequsite

업데이트 후 자바 11 설치

yum update -y
yum list | grep jdk
yum install java-11-openjdk.x86_64
java -version

 

2. axonserver 유저 생성, 폴더 생성 후 ownership 부여 / 로그 경로 생성 및 권한 부여

$ sudo adduser -d /var/lib/axonserver -U axonserver
$ sudo mkdir -p /var/log/axonserver
$ sudo chown axonserver:axonserver /var/log/axonserver

 

3. 프로퍼티 파일 생성

vi /var/lib/axonserver/axonserver.properties

//아래 내용 추가
logging.file=/var/log/axonserver/axonserver.log
logging.file.max-history=10
logging.file.max-size=10MB
axoniq.axonserver.event.storage=./events
axoniq.axonserver.snapshot.storage=./events
axoniq.axonserver.controldb-path=./data

 

4. start shell 작성

vi /var/lib/axonserver/start-axonserver.sh

//아래 내용 작성
#!/bin/bash

AXONSERVER_HOME=/var/lib/axonserver
cd ${AXONSERVER_HOME}

PIDFILE=${AXONSERVER_HOME}/axonserver.pid
AXONIQ_PIDFILE=${AXONSERVER_HOME}/AxonIQ.pid

if [ -s ${PIDFILE} ] ; then
    PID=$(cat ${PIDFILE})
    if ps -p ${PID} > /dev/null ; then
        echo "AxonServer is already running (PID=${PID})"
        exit 0
    fi

    echo "Cleaning up old PID files"
    rm -f ${PIDFILE} ${AXONIQ_PIDFILE}
fi

java -jar ${AXONSERVER_HOME}/axonserver.jar &
PID=$!

echo ${PID} > ${PIDFILE}

 

5. jar 공수

wget으로 아래 zip 받은 후 unzip 해서 사용할 수 있겠으나, 나는 그냥 로컬에 받고 jar 파일 두개를 sftp로 옮겼다.

(주의, 아래 링크 클릭 시 다운로드 됨)

https://download.axoniq.io/axonserver/AxonServer.zip

[root@localhost axonserver]# pwd
/var/lib/axonserver
[root@localhost axonserver]# ls -tr
axonserver.properties  axonserver-cli.jar  axonserver.jar  start-axonserver.sh

 

위 경로에 모든 것을 준비한다.

이대로 jar을 실행하면 되는거지만, 서버의 서비스에 등록해보도록 한다.

 

6. 서비스 등록 파일 작성

# /etc/systemd/system/axonserver.service
[Unit]
Description=AxonServer Service
#Requires=google-startup-scripts.service
#After=google-startup-scripts.service

[Service]
Type=forking
User=axonserver
Group=axonserver
ExecStart=/var/lib/axonserver/start-axonserver.sh
PIDFile=/var/lib/axonserver/axonserver.pid
StandardOutput=null
StandardError=null
TimeoutStartSec=10

[Install]
WantedBy=multi-user.target

공식 사이트에서는 google-startup-scripts.service 를 사용한 서비스 스크립트를 가이드해주는데, 아무래도 구글 vm(?) 을 사용했을 때를 전제로 하는 것 같다. 저 부분을 주석처리하고 진행해도 별 문제 없었다.

 

7. 서비스 등록 및 실행

//등록
sudo systemctl enable /etc/systemd/system/axonserver.service
//실행
sudo systemctl start axonserver

//상태 파악
sudo systemctl status axonserver
ps -eaf | grep axon

//종료
sudo systemctl stop axonserver

 

8. 실행 후 확인, vm에 띄웠기 때문에 vm ip로 접속. (기본포트 8024)

 

 


참고

설치 관련 공식사이트 원문

https://axoniq.io/blog-overview/running-axon-server-in-a-virtual-machine

 

Running AxonServer in a Virtual Machine - Managed or DIY, AxonServer runs fine in the cloud, private or public

We use cookies to analyze our traffic, to optimize the site functionality and to make sure you get the best experience on our website. We do not place cookies to invade your privacy. By continuing to use this site you are giving us your consent to our cook

axoniq.io

 

728x90
반응형

'서버 세팅 & tool > vm on mac' 카테고리의 다른 글

[vm] nginx 설치  (0) 2022.02.24
[parallels] nox...... 99%.....  (0) 2022.02.23
[vm] virtual box 브릿지 네트워크 설정  (0) 2022.01.12
[vm] jenkins 설치  (0) 2022.01.10
[vm] 네트워크 고찰  (0) 2022.01.04
반응형

virtual box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

 

vm을 고정 IP로 지정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세팅한다.

1. 우선 맥북(호스트)의 ip 확인 > 192.168.35.xx였다

ifconfig

 

2. linux(게스트)에서 기본 정보 확인

  • 현재 ip/prefix 확인(넷마스크)

Prefix 24의 Netmask 주소는 255.255.255.0 이다.

ip addr

 

  • 게이트웨이 정보 (via 다음 ip)
ip route

 

  • 네임서버 정보
cat /etc/resolv.config

 

 

3. 게스트 파일 수정

cd /etc/sysconfig/network-scripts
vi ifcfg-enp0s3

열고 위에서 알게된 정보를 기반으로 아래와 같이 설정했다.

 

4. 게스트 재시작 및 확인

systemctl restart network
ip addr
ping 8.8.8.8   //(구글)

 

5. 호스트에서 접속 확인

ssh root@192.168.35.100
728x90
반응형

'서버 세팅 & tool > vm on mac'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rallels] nox...... 99%.....  (0) 2022.02.23
[vm] axon server 설치  (0) 2022.01.12
[vm] jenkins 설치  (0) 2022.01.10
[vm] 네트워크 고찰  (0) 2022.01.04
[vm] virtual box 네트워크 NAT 설정 - mac  (0) 2022.01.03
반응형

centos7 에서 설치

> wget -O /etc/yum.repos.d/jenkins.repo https://pkg.jenkins.io/redhat-stable/jenkins.repo
> rpm --import https://pkg.jenkins.io/redhat-stable/jenkins.io.key
> yum upgrade
> yum install epel-release java-11-openjdk-devel
> yum install jenkins
> systemctl daemon-reload
> systemctl start jenkins

 

포트 변경(기본 8080)

sudo vi /etc/sysconfig/jenkins
/PORT 검색 후 8888로 변경

systemctl restart jenkins

 

설치 후 ui로 들어가서 jenkins setup wizard를 진행하다보니 다음과 같은 에러가 나서 추가적인 설정을 하였다.

"Unable to connect to Jenkins Server." 

//Add Jenkins user to root group
sudo usermod -a -G root jenkins

vi /etc/sysconfig/jenkins
//아래 내용 수정
JENKINS_LISTEN_ADDRESS="0.0.0.0"

systemctl restart jenkins

 

ui에서 localhost:8888로 들어온다. secret key로 로그인 하고 기본 플러그인으로 설치하겠다고 하면 천천히 설치하면서 아래와 같은 화면이 된다.

 

우선 continue 누르고 세부 설정으로 넘어간다.

Jenkins 관리 > System Configuration


1. 자바

jdk11 은 기본 인스톨러에 없어서 아래와 같이 설정

 

2. 그래들 - 7.3.3. 으로 기본 인스톨러로 설치

3. 소나큐브 - plugin으로 설치

4. git 은 수동으로 설치

yum install git

728x90
반응형
반응형

목표: vm에 jar을 배포한다. jar 이 정상 실행되려면 보안상의 이유로 host의 ip를 사용해야한다. jar이 정상 실행되면 host에서 vm의 api를 쏠 수 있어야 한다.

 

1. NAT 방식

2022.01.03 - [세팅/vm on mac] - [vm] virtual box 네트워크 NAT 설정 - mac

 

[vm] virtual box 네트워크 NAT 설정 - mac

목표: mac os 에서 virtual box 로 centos 7을 깔고, centos에서 out 되는 ip를 로컬과 동일하게 설정 ​ 1. mac > 설정 > 공유 > 원격 로그인 on 2. virtual box > 파일 > 호스트 네트워크 관리자 - 1번에서 확..

bangpurin.tistory.com

호스트의 ip를 게스트가 그대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vm 내부의 jar가 정상작동한다. 하지만 host -> vm로 api shoot이 안된다. 

포트 포워딩으로 jar의 port를 설정해주었지만 telnet 은 되고 curl을 할 경우 connection reset으로 response 를 받아오지 못한다.

포트 포워딩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아 계속 보고있다ㅠㅠ

-> 포트 포워딩 설정에는 문제가 없었다!! 게스트에서 방화벽 정책 끄니까 된다...

systemctl status firewalld  //상태 확인
systemctl stop firewalld    //종료

 

2. Bridge adaptor

2022.01.12 - [세팅/vm on mac] - [vm] virtual box 브릿지 네트워크 설정

 

[vm] virtual box 브릿지 네트워크 설정

virtual box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 vm을 고정 IP로 지정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세팅한다. 1. 우선 맥북(호스트)의 ip 확인 > 192.168.35.xx였다 ifconfig 2. linux(게스트)에서 고정 ip 설정 cd /etc/sysc..

bangpurin.tistory.com

게스트에 별도 ip를 할당받아 보안정책에 의해 jar 실행이 되지 않는다.


참고 - 네트워크 개념 팍팍팍..

https://www.nakivo.com/blog/virtualbox-network-setting-guide/

728x90
반응형
반응형

목표: mac os 에서 virtual box 로 centos 7을 깔고, centos에서 out 되는 ip를 로컬과 동일하게 설정

1. mac > 설정 > 공유 > 원격 로그인 on

2. virtual box > 파일 > 호스트 네트워크 관리자

- 1번에서 확인한 ipA로 수정

3. 설치한 centos 7의 설정 > 네트워크

- 포트포워딩 화면에서 ip A 로 설정

4. virtual box 재실행

5. mac terminal 에서 확인

ssh root@ip A -p 2222


참고

1. 네트워크 별 자세한 설명

https://mpjamong.tistory.com/110

2. 설정 참고(맥에서는 원격 로그인 해제해야 하는 걸 몰랐다..)

https://qteveryday.tistory.com/202

728x90
반응형

'서버 세팅 & tool > vm on mac' 카테고리의 다른 글

[vm] axon server 설치  (0) 2022.01.12
[vm] virtual box 브릿지 네트워크 설정  (0) 2022.01.12
[vm] jenkins 설치  (0) 2022.01.10
[vm] 네트워크 고찰  (0) 2022.01.04
[vm] virtual box centos7 세팅  (0) 2022.01.03

+ Recent posts